반응형 공부 14 <정보보안기사> 1. 시스템 이론 - xinetd 슈퍼데몬 목차 xinetd 슈퍼데몬 개요 - eXtended Internet Services daemon의 약자로, 리눅스 시스템에서 다야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는 슈퍼데몬 - 기존의 inetd 슈퍼데몬의 비효율적 자원관리와 보안문제를 개선 - TCP wrapper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별 접근제어 가능 설정파일설명/etc/xinetd.conf 모든 서비스에 적용되는 xinetd 설정 파일/etc/xinetd.d/각종 서비스 설정파일 각 서비스에 적용되는 xinetd 설정 파일 설정 파일 형식 설정 항목의미service 서비스 이름socket_type 소켓 유형 (stream = TCP / dgram = UDP)wait 서비스 요청 처리방식 (no = 비동기 / yes=동기)u.. 2024. 11. 21. <정보보안기사> 1. 시스템 이론 - 작업 스케줄 관리(cron, crontab 명령어) 목차 cron 서비스 개요 - cron 서비스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특정 시간이나 주기에 맞춰 자동으로 명령어 또는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서비스. -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시스템 관리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줌 cron의 구성 요소 `crontab` : cron 작업을 설정하는 파일. 사용자별로 crontab 파일을 생성하여 관리`crond` : cron 서비스를 데몬 형태로 실행하는 프로그램.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어 crontab 파일을 읽고 설정된 작업을 실행 root의 cron 작업 파일 - 경로 : `/etc/crontab` - `root`가 모든 사용자의 cron 작업 등록을 위해 사용하는 파일 - `-perm 640` 이하 권한 설정 권장 일반 사용자 별 crontab 작업.. 2024. 11. 20. <정보보안기사> 1. 시스템 이론 - 파일 시스템 관리(df, du 명령어) 목차 파일시스템 관리 개요 `df` 명령어는 `disk free`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 `mount` : 저장 장치를 파일 시스템의 특정 디렉터리애 연결하는 작업>> 쉽게 말해 하드 디스크 ,USB 드라이브, 네트워크 드라이브 등 다양한 저장 장치를 컴퓨터에서 하나의 폴더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의미 마운트 관련 명령어(리눅스 기준) 요약 `mount` :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함`umount` :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함`fstab` :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을 설정하는 파일`df` :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* `du`는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이 차지하는 디스크 공간을 확인 여유 공간.. 2024. 11. 19. <정보보안기사> 1. 시스템 이론 - 사용자 관리(useradd, usermod, userdel 명령어) 목차 사용자 계정 추가(useradd) 명령어 문법 `useradd`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을 추가할 때 사용 문법(리눅스)`useradd [옵션] [이름]`옵션`-u` 사용자 ID를 직접 지정 시스템에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을 사용해야함`-g` 기본 그룹을 지정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자동으로 속하게 되는 그룹`-G` 보조 그룹을 지정 사용자가 속하게 될 추가 그룹을 쉼표(,)로 구분하여 여러 개 지정 할 수 있음`-c` 사용자의 설명(comment)을 설정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이름이나 부서 등을 입력`-m`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자동으로 생성`-d` 홈 디렉터리의 위치를 지정 -m 옵션과 함께 사용하는 게 일반적`-s`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사용할 쉘을 지정 /bin/bash나 /bin/sh 등.. 2024. 11. 18. 이전 1 2 3 4 다음